2.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뜨는 이유 TPMS 경고등
자동차 계기판에 제일 자주 볼수 있는 공기압 경고등 일거라 생각됩니다.
타이어에 느낌표 모양의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경고등을 이라고 많이 이야기 합니다.
2015년 이후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장착이 의무화 되었습니다.
공기압이 기준 공기압보다 많거나, 적을때 경고등이 켜집니다.
1. 바람이 빠진 경우
제일 먼저 타이어에 못이 박힌 경우가 많습니다.
이경우는 가까운 정비소에 점검을 바로 받으셔야 합니다.
2. 공기압이 낮은 경우
육안상으로 타이어 공기압이 빠지지 않은거 같은데, 경고등이 켜진 경우는 겨울에 많이 나타납니다.
기온이 내려가면 공기압은 낮아지기 때문에 적정 공기압보다 낮아져서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게 됩니다.
일부 차들의 경우 스페어 타이어를 대신하여 공기압 주입기가 트렁크에 있습니다.
시거잭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을 넣고, 바로 경고등이 사라지지 않고, 일정 거리 주행을 하면 사라집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사고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계절이 자주 바뀌는 우리나라에서는 자주 점검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동차 첨가제 필요한가? (1) | 2024.12.18 |
---|---|
5. 중고차 구매시 차량 점검 방법 (2) | 2024.12.18 |
4. 중고차 매매 계약서 양식 다운로드 (3) | 2024.12.17 |
3. 타이어 적정공기압 수치 (1) | 2024.12.16 |
1. 엔진오일 저렴하게 교환하기 (0) | 2024.12.13 |